-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락 :: 배당주 투자전략 :: 2023년 FOMC회의 일정주식투자공부 2022. 11. 23. 14:46728x90
연말이 되면 투자가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배당관련 이슈 체크입니다. 내가 배당을 받기 위해서 주식을 언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지, 배당관련 용어들이 생소할 수 있는데 오늘은 배당관련 용어와 배당주 투자전략을 알아봅니다.
12월 결산을 하는 기업의 경우 주주를 인정하는 기준이 연말 배당기준일 하루만 보유해도 주주로 인정하기 때문에, '하루만 보유하고 배당을 받고 바로 팔자'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런 경우가 있긴 하지만, 세상에 무위험 차익거래는 항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당관련 핵심 사항은 알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배당기준일과 배당락
배당기준일: 배당을 받게 되는 주주로 결정되는 기준이 되는 날
배당락: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
배당소득세: 배당금에서 15.4% 원천징수배당은 배당을 주는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준일을 넘길 경우에는 배당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배당락'이 발생하며, 배당금은 15.4%의 세금을 제외하고 보통 4월에 본인의 주식계좌로 입금됩니다.
'배당기준일'은 쉽게 설명하자면 한국 주식시장 마지막 거래일 기준인데, 12월 31일이 휴장인 관계로 30일이 배당기준일이 됩니다. 즉, 12월 30일이 배당기준일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주식 거래방식이 '3일 결제'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면 주식계좌에는 바로 보이지만 거래의 안정성을 위해 거래일 포함 3일 뒤에 주식이 실제 입고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을 매수 후 3일째 되는 날이 배당기준일인 30일이 되어야 합니다.
즉, 28일에는 주식을 사야 28일(D), 29일(D+1), 30일(D+2)이 된다는 의미로, 복잡해 보이지만 그냥 공식처럼 외워야 합니다.
종합하면, '12월 31일은 매년 휴장이므로, 28일에 주식을 매수해야, 3일째 배당기준일인 12월 30일에 해당된다'입니다. 29일부터는 배당을 받을 수 없으므로 '배당락'이 되는 것이고, 28일에 주식매수 후 29일에 매도를 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전략
전체적인 주식시장 흐름이 중요
배당이 목적이라면 보통 6개월 전에 관련 주식을 싸게 매수해야삼성전자의 과거 주가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020년의 경우, 12월 28일까지 매수 및 보유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었고, 29일 배당락 때 일시 하락 후 주가는 오히려 강하게 상승을 했습니다. 주식시장이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었기 때문인데 29일 배당락 이후에도 주가는 상승세를 보여, 배당도 받고 주가도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삼성전자 주가(2020년) 주식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한 2021년의 삼성전자는, 2021년 12월 28일까지 주식을 매수 및 보유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었고, 29일 배당락 때 강한 하락세, 그리고 이후 주가는 크게 하락을 했습니다. 배당은 받을 수 있을지 몰라도 주가하락세가 너무 크게 나타난 것입니다.
삼성전자 주가(2021년) 보통 12월이되면 연말 배당수익율과 배당투자관련 뉴스가 쏟아지는데, 배당을 많이 지급하더라도 바로 다음 날 예상 배당만큼 배당락으로 주가가 하락합니다. 중요한 것은 배당락 이후 주가의 흐름인데, 이는 투자한 기업의 산업 방향과 전체적인 주식시장 흐름에 달려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감안해서 판단을 해야 합니다.
즉, 12월 28일 배당만 받는다는 목적으로 하루만 투자해서 파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에서 주가가 우상향할 수 있는 종목이 배당까지 지급하면 좋다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2023년 FOMC회의 일정
2월 2일, 3월 23일, 5월 4일, 6월 15일
7월 27일, 9월 21일, 11월 2일, 12월 14일세계경제와 한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미국 FOMC회의 2023년 일정입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금리는 5%내외 높은 수준 유지, 내년 하반기부터 점진적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나오는데 내년에는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길 기대해 봅니다.
2022년 12월 30일이 올해 마지막 거래일입니다. 31일은 휴장이고, 내년 2023년은 1월 2일 오전 10시에 개장(매년 첫 거래일은 1시간 늦게 개장)합니다. 올해는 역대급으로 수많은 이슈들이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을 했었는데, 내년에는 많은 반전이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richfamily.
'주식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의료 원격진료 관련주 ::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0) 2022.11.25 폴란드 노르웨이 무기수출 - K2전차 : 방산관련주 현대로템 (0) 2022.11.24 사우디 K방산 7조규모 관심 - 천궁2 비호2 :: 방산관련주 LIG넥스원 한화디펜스 (0) 2022.11.23 애플XR기기 삼성VR기기 - XR관련주 VR관련주 :: LG이노텍 덕산네오룩스 코세스 (0) 2022.11.22 삼성 로봇 투자 - 로봇관련주 :: 로봇ETF 에스피지 인탑스 (0) 20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