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삼성 로봇 투자 - 로봇관련주 :: 로봇ETF 에스피지 인탑스
    주식투자공부 2022. 11. 21. 19:58
    728x90

    삼성이 로봇사업을 선언하고 테슬라도 휴머노이드로봇을 공개했습니다. 삼성은 2030년까지 무인 공장과 '1인 1로봇'시대를 준비 중이라 발표했는데, 로봇산업과 관련주에게는 큰 화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까지 이제 본격 확장기에 접어드는 상황입니다.

     

    산업용 로봇은 이미 우리가 사용하고 있었지만 앞으로 중요해지는 이유는 바로 노동인구의 장기적 감소와 고령화때문입니다. 한국도 빠르게 초고령화 시대로 진입하고 있고, 지금 산업 현장에서는 노동자를 구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삼성로봇투자
    삼성 로봇 투자

     

    삼성 웨어러블로봇과 테슬라 휴머노이드로봇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젬스' 12월 출시 후 2023년 하반기 양산 예정, 2030년까지 반도체 무인공장 도입
    테슬라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2023년부터 양산

     

    삼성은 웨어러블 로봇 '젬스'를 12월 출시 후 2023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로봇산업과 주식이 크게 화두가 된게 바로 이 부분때문인데, 삼성이 로봇시장에 본격 진입한다는 뉴스가 사실상 핵심입니다.

     

    젬스는 보행보조 로봇으로 2031년 글로벌 웨어러블 시장 규모가 약 11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의료용 로봇을 시작으로 가정용 및 서비스용으로 점차 확대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 로봇 출시

    테슬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인간형 로봇)으로 초기에는 공장에서 일부 작업을 수행하게 하면서 점차 무인 공장으로 확대할 계획인데, 골드만삭스는 향후 10~15년 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를 약 600억달러(약 85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론머스크 또한 미국 제조업의 노동력 부족을 로봇으로 보충하면서 향후 5~10년 내 수백만대 출하 목표를 밝혔는데, 로봇사업이 궁극적으로 테슬라의 전기차보다 더 많은 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로봇관련주

    삼성자산운용 로봇ETF 'KODEX K-로봇액티브' 국내 최초 출시
    두산 로보틱스: 국내 협동 로봇 1위, 전세계 5위
    현대차 미국 보스턴다이나믹스 보유

     

    로봇ETF가 최근 출시되었고 로봇관련 기업을 모두 포함하기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업에서는 두산 로보틱스와 현대차가 대표적이구요, 중소형주 중에서는 재무제표가 괜찮은 종목 중에서는 에스피지와 인탑스를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에스피지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생산회사입니다. 협동로봇 가격의 최대 30%를 감속기가 차지할 정도로 핵심 부품인데, 글로벌 시장에서 하모닉드라이브 시스템즈 등 일본 제품이 60~70%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독과점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로봇 감속기
    로봇 감속기

    고정밀 로봇용 감속기(SH감속기, SR감속기)를 국산화했고, 때마침 전세계 감속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에스피지의 시장점유율이 확대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 약 40개의 관절을 갖춰 장기적으로 감속기 수요가 대폭 늘어나는 시장이 될 수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은 보통 6개의 감속기 사용하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 약 40개 사용 가능)

    시가총액은 약 4,000억으로 올해 예상 PER는 약 17배입니다. 실적이 꾸준히 증가가 예상되고 배당까지 지급하는 강소기업입니다.

    에스피지 재무제표
    에스피지 재무제표

     

    인탑스

    모바일과 가전분야 부품을 생산(스마트폰 케이스 국내 1위 업체)하면서 삼성의 젬스 최종 조립 생산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을 독점적으로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2021년 약 5천대에서 22년에는 약 1만대 공급 예정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5,500억으로 재무제표는 매우 우량합니다. 2022년 올해 PER가 약 5배인데 이는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IT산업의 부진영향과 성장성 부진 때문이며, 정체가 되고 있는 기존 사업부에 로봇사업이 추가되는 것은 무엇보다 긍정적입니다. 30년 이상 삼성전자와 협력관계가 있어 향후 삼성전자 서비스 로봇시장 확대에도 기대감이 존재합니다.

    인탑스 재무제표
    인탑스 재무제표

     

     


    로봇산업이 성장하더라도 아직은 장기적 관점이기에 주식의 등락폭은 심할 것입니다. 삼성전자와 테슬라가 로봇을 실제 양산하는 시기는 내년이기에 로봇관련주들은 내년에도 크게 이슈화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전략을 잘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richfamily.

    댓글

Designed by Tistory.